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SK·AWS, 국내 최대 AI 데이터센터 구축 추진

by 삼촌네정보상 2025. 6. 16.
반응형

 

동북아시아 AI 허브로의 도약
한국이 동북아시아 AI 허브로 부상할 전망이다. SK그룹과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울산에 7조원 규모의 초대형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선다. 이는 민간 주도의 국내 최대 AI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로, 한국의 AI 생태계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동북아 최대 규모 AI 허브 탄생

SK그룹과 AWS는 울산 미포 국가산업단지 내 3만6000㎡ 부지103MW 규모의 AI 전용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총 7조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투자로, 이 중 약 5조 4712억원(40억 달러)은 AWS가 직접 투자한다. 단일 프로젝트 기준으로는 이례적인 규모다.

7조원 총 투자규모
103MW 전력용량
6만장 GPU 규모
3만6000㎡ 부지면적
1단계 (2027.11): 41MW 규모 완성
2단계 (2029.02): 103MW 규모로 확장 완료

완공 시 그래픽처리장치(GPU) 약 6만장이 투입되며, 이는 현재 국내에서 계획 중인 데이터센터 중 가장 큰 규모다.

민간 주도의 혁신적 투자 모델

이번 프로젝트의 가장 주목할 점은 정부 예산에 의존하지 않는 민간 주도 투자라는 점이다. 기존 국가 차원의 AI 센터 구축 논의가 지지부진한 가운데, SK와 AWS는 자체적으로 7조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는 한국의 AI 인프라 구축이 민간 영역에서 더욱 역동적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SK그룹은 이미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를 통해 2028년까지 5년간 최대 3조 4000억 원의 AI 데이터센터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여기에 AWS와의 협력을 통해 추가로 7조원 규모의 투자가 더해지면서, SK그룹의 AI 인프라 투자 규모는 총 10조원을 넘어선다.

전략적 입지 선택의 배경

울산이 AI 데이터센터 구축지로 선정된 배경에는 여러 전략적 요인이 있다. 먼저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AI 데이터센터는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는데, 울산은 한국수력원자력의 발전소와 인접해 있어 전력 공급에 유리하다.

또한 냉각 시설 운영에 필요한 바닷물을 활용할 수 있다는 지리적 장점도 크다. 데이터센터는 24시간 가동되는 서버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해야 하는데, 바닷물을 활용한 냉각 시스템은 운영비 절감에 도움이 된다.

국내 AI 생태계에 미치는 파급효과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의 AI 생태계 전반에 긍정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103MW 규모의 데이터센터는 국내 AI 스타트업과 기업들에게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특히 GPU 6만장 규모의 컴퓨팅 파워는 대규모 언어모델(LLM) 훈련과 AI 서비스 개발에 필수적인 인프라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국내 AI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경쟁력 확보의 기회

한국의 AI 데이터센터 구축은 글로벌 AI 경쟁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미국, 중국 등 AI 선진국들이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통해 AI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도 자체적인 AI 인프라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AWS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네트워크와 연결되면서, 한국이 동북아시아 AI 허브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된다. 이는 단순히 국내 시장을 넘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AI 서비스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향후 전망과 과제

SK와 AWS는 이달 말 출범식을 열고 8월 기공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하지만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서는 여러 과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특히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전문 인력 확보와 지속적인 기술 혁신이 중요하다.

또한 AI 데이터센터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친환경 기술 도입도 필수적이다. 대규모 전력 소비와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면서도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운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민간 주도의 대규모 투자를 통해 구축되는 이 AI 데이터센터가 성공적으로 운영된다면, 한국의 AI 생태계는 한층 더 성숙한 단계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